Yoshua Okón
Punto ciego: 8, 2024
From the series

Oil on canvas

220 x 160 x 7 cm

86.63 x 63 x 2.76 in

Yoshua Okón

맹점: 8, 2024  

캔버스에 유채  

크기:  

86.63 x 63 x 2.76 인치  

220 x 160 x 7 cm

MORE INFO

BLIND SPOT

In 1917, Professor Shinobu Ishihara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vented a test to detect color blindness. This test consists of a set of circular plates covered with colored dots that form symbols visible to people with normal vision, and invisible to those who are color blind. Ishihara also created reverse plates in which the symbols are visible to color-blind individuals and invisible to people with normal vision. In other words, these plates conceal information at first glance. Ishihara based the design of these plates on our innate instinct to make sense of chaos by creating recognizable patterns. 

The dots covering the reverse plates generate visual "confusion" through subtle variations in color. Faced with this confusion, and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color perception that each person can perceive, the brain activates a mechanism that makes some colors invisible and groups others to make sense of the image. In other words, due to our inability to perceive or assimilate the entirety of our surroundings, the brain relies on past experiences to focus on certain data and ignore others.

This mechanism applies to all senses, including the sense of reality. That's why limitations in a person's vision can also open perspectives or angles that are not perceptible to others. As a color-blind person, and based on the principle behind reverse plates, for "Blind Spot," I created 10 paintings with a hidden letter in each one. Together, the paintings form a phrase that may or may not be seen depending on each person's vision. By highlighting limitations in visual perception, the works in the exhibition also allude to our conceptual limitations and the role that ideology plays in the invisibilization of aspects of reality that we cannot see even though they are right in front of us. 

Thus, "Blind Spot" operates as a metaphor for the invisibility of that which we cannot perceive. But above all, it raises a critique of the modern conception that has created the illusion that we can have total access to reality and, therefore, total control over the world and our destiny. A conception that, in turn, has resulted in an anthropocentric culture whose hubris has led to a world in crisis.

맹점

1917년 도쿄 대학의 이시하라 신보 교수는 색맹을 감지하기 위한 검사를 발명했다. 이 검사는 색깔이 점으로 덮인 원형 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기호를 형성하고 색맹인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시하라는 색맹인 사람들에게 기호가 보이고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역판도 만들었다. 즉, 이 판들은 처음에는 정보를 숨기고 있다. 이시하라는 이러한 판들의 디자인을 혼란을 인식 가능하게 하는 본능적인 경향에 기반을 두었다. 역판에 덮인 점들은 색상의 미세한 변화를 통해 시각적 "혼란"을 생성한다. 뇌는 이 혼란에 직면하고 각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색상 인식의 차이에 따라 일부 색상을 보이지 않게 하고 다른 색상을 그룹화하여 이미지를 이해하려는 구조를 활성화한다. 즉, 주변 환경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거나 넘길 수 없기 때문에 과거 경험에 의존하여 특정 데이터를 집중하고 다른 데이터를 무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모든 감각, 특히 현실 감각에도 적용된다. 이에 시각의 제한은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는 인식되지 않는 관점이나 각도를 열 수 있다. 원작자는 색맹인 사람으로서 역판의 원리에 기반하여, ‘맹점’을 위해 각 그림에 숨겨진 문자가 있는 10개의 그림을 만들었다. 이 그림들은 함께 어우러져 특정한 문구를 형성하며, 이는 각 사람의 시각에 따라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시각적 지각의 한계를 부각시키면서, 전시 작품들은 또한 우리가 바로 앞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볼 수 없는 현실의 측면에 대한 개념적 한계와 이데올로기가 역할을 하는 방식을 암시한다. 따라서 ‘맹점’ 은 우리가 인식할 수 없는 것의 보이지 않음에 대한 은유로 작용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작품은 우리가 현실에 대한 완전한 접근과 따라서 세계와 우리 운명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할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낸 현대 개념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다. 이러한 개념은 결국 인류 중심의 문화를 초래하였고, 그 자만심은 위기에 처한 세계를 낳았기 때문임을 상징한다.